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83건)

광주 서구문화원, 호남 선비들의 발자취를 찾아 떠나다
광주지역 선비들의 발자취를 찾아 떠나는 열린강좌 답사가 지난 9월 25일 광주시 북구 충효동 일원에서 진행됐다.광주 서구문화원이 한국학호남진흥원과 공동으로 마련한 이번 열린강좌 답사는 김종 전 조선대 교수와 함께 문화역사적 가치가 있는 충효동 일대 호남 선비들의 의병정신, 선비정신 등의 발원을 찾기 위해 마련
박학독지- 한국방송통신대학 광주전남지역대학
한국방송통신대학 광주전남지역대학 준공기념비 2005년 12월 18일광주광역시 광산구 첨단내촌로 6 (월계동)2003학번 중어중문학과 김종렬이 글을 쓰고 건립추진위원으로 광주전남지역대학장 김형근, 제23대 광주전남지역대학 총학생회장 김정곤, 제19대 광주전남지역대학 중문학과 학생회장 이극이 참여함박학독지博學
부산시립미술관에서 거대한 일상을 보다
정인서(2021.06.21.) 광주에서 부산까지는 불과 3시간, 늘 심정적으로 멀다고 생각했지만 막상 고속버스에 오르니 잠깐 눈을 붙인 사이에 섬진강 휴게소를 거쳐 부산 노포 종합버스터미널에 도착했다. 바로 도시철도가 연계되어 버스로 한 번 환승하여 벡스코 건너편에 자리한 부산시립미술관을 찾았다.바쁜 일상 속에
암행 어사 이면승이 서계하여 호남의 사정을 아뢰다 - 순조 8년
전라좌도 암행 어사 이면승이 서계하여 호남의 사정을 아뢰다 - 순조 8년 무진(1808) 8월 6일(기해) 전라좌도 암행 어사 이면승(李勉昇)이 서계하여, 금산 군수(錦山郡守) 조영경(趙榮慶), 전 군수 유한기(兪漢紀), 전 흥양 현감(興陽縣監) 이계(李㬖), 전 광양 현감(光陽縣監) 김종철(金宗喆), 전 보성 군수(寶城郡守)
광주 서구문화원, ‘의향정신 찾아 떠나는 여행’ 가져
광주 서구문화원은 한국학호남진흥원의 문화원 동행사업으로 23일 광주지역 내 의로움과 의병정신을 간직한 장소들을 방문하고 현장특강을 듣는 등 광주정신의 뿌리를 찾는 답사를 진행했다.이번 답사는 의로움과 당당함으로 한 시대를 살았던 인물들에 대한 현장 탐구를 통해 선현들의 용기와 희생이 오늘의 광주 공동체를
대간이 유자광의 중형을 아뢰니 불허하다 - 중종 2년
대간이 유자광의 중형을 아뢰니 불허하다 - 중종 2년 정묘(1507) 4월 18일(신묘) 대간이 아뢰기를,“자광이 나라를 그르치는 정상은 온 나라가 다 알고 있습니다. 청컨대 쾌히 결단하시고, 그 아들ㆍ사위도 다 함께 귀양보내 내치소서.”하니, 전교하기를,“자광은 성종조에서 귀양갔다가 얼마 안 되어 환직(還職)되었으며,
권덕영의 처가 사통한 일을 분간하여 풀어주게 하다 - 성종 19년
양녕 대군 이제의 딸 이씨가 종 천례와 사통한 일을 분간하여 풀어주게 하다 - 성종 19년 무신(1488) 10월 4일(갑오)처음에 양녕 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첩의 딸 이씨(李氏)가 권덕영(權德榮)의 아내[妻]가 되어 광주(光州)에 살았는데, 권덕영이 죽으니, 그 종[奴] 천례(天禮)와 사통하여 딸 하나를 낳아서 이름을
죄를 의결하는 법 등을 논의하다 - 성종 19년
이개질동의 처결ㆍ권덕영의 처의 추국ㆍ노비를 공천에 붙이는 법 등을 논의하다 - 성종 19년 무신(1488) 7월 12일(계유)       정사를 보았다.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 박승약(朴承爚)이 광주(光州) 죄수인 사노(私奴) 이개질동(李介叱同)이 본주인 정서(丁諝)를 구타한 추안(推案)을 아
김종서가 광주 목사 신보안과 기생 소매의 간통 사건의 조사를 건의하다 - 세종 11년
김종서가 광주 목사 신보안과 기생 소매의 간통 사건의 조사를 건의하다 - 세종 11년 기유(1429) 11월 13일(을묘) 우부 대언 김종서(金宗瑞)가 아뢰기를,“광주 목사(光州牧使) 신보안(辛保安)이 고을 기생 소매(小梅)와 간통하여, 그의 서방 전 호군 노흥준(盧興俊)이 그 기생을 결박하고, 보안을 능욕하였다고 지금 암행
광주시, 2020년 문화예술상- 문학·미술·국악부문 5명 선정 시상
광주광역시는 17일 서구 치평동 라붐웨딩홀에서 ‘2020년 문화예술상 시상식’을 열고 문학, 미술 등 5개 부문에 선정된 5명에게 상패를 수여했다.올해 광주문화예술상은 ▲박용철 문학상에는 1976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을 시작으로 활발한 창작활동을 하고, 광주문화재단 초대 이사와 서구문화원장을 역임한 시인
영남과 호남의 인물들, 도협총설 104조항 〔陶峽叢說 一百四則〕 -도곡집
도협총설 104조항 〔陶峽叢說 一百四則〕 -도곡집 제28권 / 잡저(雜著) : 이의현(李宜顯, 1669~1745)102. 조선조에서는 양남(兩南) 지방의 인물이 가장 현달하였으니, 경주(慶州)에는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이고, 안동(安東)에는 충정공(忠定公) 권벌(權橃)과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과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과
최경심씨, 동서문학상 시 부문 금상 수상
광주 서구문화원(원장 정인서) 문화교실에서 문예창작반을 다닌 수강생이 최근 동서문학상 금상을 수상해 관심을 끌고 있다. 화제의 주인공은 지난 3년간 문예창작반 수업을 들으며 시를 습작해온 최경심(66)씨. 2020년 제15회 삶의 향기 동서문학상에 ‘얼룩말 나비와 아버지’라는 작품으로 금상을 수상했다. 이번 동서문학
정단(正壇) 32인 - 홍재전서 제60권
정단(正壇) 32인 - 홍재전서 제60권 / 잡저(雜著) 7 : 정조대왕(正祖大王, 1752~1800) 사판(祠版)에는 ‘충신지신(忠臣之神)’이라고 쓰고, 제사의 의식은 축문이 있으며 - 축문은 본릉의 한식절 수향(受香) 때 같이 싸 가지고 감 -, 제품(祭品)은 밥 한 주발, 소탕(素湯) 한 대접, 나물과 과일 각 한 소반, 술 한 잔이고, 제
武珍遺俗故凶奸 - 점필재집 시집 제21권
광주 사람이 그곳 판관 우윤공을 쏘아서 팔뚝을 맞혔는데, 윤공은 화순으로 달아났다[光州人射其判官禹允功中臂允功奔和順] - 점필재집 시집 제21권 : 김종직(金宗直, 1431~1492)무진의 남긴 풍속은 본디 흉하고 간악하여 / 武珍遺俗故凶奸어린아이가 능히 적백환을 더듬어 취했네 / 童子能探赤白丸태평시에도 분수를 범할
광주의 무등산을 보며[光州無等山] - 점필재집 시집 제21권
광주의 무등산을 보며[光州無等山] - 점필재집 시집 제21권 : 김종직(金宗直, 1431~1492) 푸르고 푸른 서석산 가을 하늘에 솟았는데 / 蒼蒼瑞石聳秋空보통 십 일 동안을 안중에 들어온다네 / 十日尋常在眼中희경루 앞에서 다시 머리 돌려 바라보니 / 喜慶樓前更回首구름 연기 잠깐 걷히자 영궁이 보이누나 / 雲煙纔罅見靈宮
광주 목사 박미를 보내다[送光州朴牧使楣] - 점필재집 시집 제16권
광주 목사 박미를 보내다[送光州朴牧使楣] - 점필재집 시집 제16권 : 김종직(金宗直, 1431~1492) 응당 먼 곳 백성을 위해 조정 반열 떠났으리니 / 應爲遐萌輟鷺班한 깃대로 강관 나가는 것을 한하지 마소 / 一麾休恨出江關해양의 옛땅은 남쪽 지방서 가장 웅대하고 / 海陽舊壤雄南服서석산의 높은 표치는 뭇 산의 으뜸이로세
눌재 박상과 우부리 그리고 김숙화
연산군의 말년은 '도가니'였다. 과거로 인재 뽑듯 '흥청과(興淸科)'를 두고 각처 기생을 끌어왔다. 임금을 포기한 '흥청망청'이었다. 애첩의 세도는 가관, 장녹수(張綠水)는 온갖 송사에 간여하여 뇌물 받고 종친 재산까지 빼앗았다.김숙화(淑華)도 만만치 않았다. 논 50결과 한달 갈이 밭을 하사받았다. 요즘 80정보, 24만
김종 육필시화집 《독도우체통》 발간
조선시대 선비들이 붓으로 직접 필사하여 문집을 간행했던 것처럼 72편의 시를 붓으로 직접 쓰고 각 시마다 어울리는 회화를 덧붙인 육필시화집이 시와사람에서 발간되어 눈길을 끈다.우리에게 <장미원>, <밑불>, <배중손 생각> 등으로 널리 알려진 김종 시인의 육필시화집 《독도우체통》이 시와 사람에
후석유고- 오준선
후석 오준선의 <후석유고>『후석유고』는 한말의 유학자인 오준선의 목활자본 시문집으로, 25권 12책에 달하는 방대한 양이다. 권1, 2는 오준선의 詩와 賦 451수가 수록되어 있다. 사우들과의 차운시 및 輓詩를 비롯해서 述懷 및 景物詩 등 다양한 내용의 시를 시기별로 편집하였다. 스승인 奇正鎭을 비롯해서 宋近洙,
내산동 쌍내마을
광산구 내산동 쌍내마을 선돌 3기는 쌍내마을 입구의 김종균, 이학봉씨 논을 중심으로 도로변에 세워져 있다. 원래는 도로공사 이전에는 4기가 있었다고 한다. 선돌옆에는 마을의 당산나무가 있다. 1호는 상협하관형으로 크기는 높이 124cm, 폭 140cm, 두께 40cm로서 상부는 파괴되어 떨어져 나갔으며 선돌에 대한 주민들의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